‘脫중국’의 신천지?…수교 30년 ‘베트남’
- 수교 이후 무역 164배 증가, ‘스마트폰,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화
- 레거시 제조 품목에서 ‘스마트시티, 에너지, 교통 인프라’ 주목해야
- 인건비 등 생산비 상승, 경쟁국 덤핑, 정부 규제 등은 과제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 모습.
[중소기업투데이 이상영 기자] 미중 갈등의 여파에다, 현지 생산비 증가와 규제 등 ‘중국 메리트’가 점차 사라지고 있는 가운데, 베트남이 그 대안으로 떠오른지 오래다. 특히 국내 중소기업들은 임가공이나 중간재 시장으로 베트남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1992년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한지 30년이 지나면서 이제 동남아 시장의 교두보이자, 신남방정책의 기지로 베트남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양국 수교 이후 한국과 베트남간의 교역은 가파른 성장을 지속하며 2021년 기준으로 수교 당시인 1992년에 비해 무려 164배나 증가한 807억 달러를 기록했다. 양국 간의 상호 투자 역시 2021년 기준 25억 달러에 달해, 1992년에 비해 145배나 증가했다.
국제무역연구원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양국의 무역·투자 구조는 한국이 베트남 현지공장에 투자한 후 이에 필요한 중간재를 수출하고, 베트남은 완성된 최종재를 한국에 수출하는 구조다. 이에 한국은 중간재, 베트남은 소비재와 1차 산품에서 경쟁우위를 점하고 있다. 또 한국의 베트남에 대한 투자도 시일이 지나면서 점차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확대되고 있다. 베트남의 산업경쟁력도 날로 높아져서, 이제 양국 간의 교역품목도 점차 고부가가치 상품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애초 양국의 주요 교역 품목은 수교 초기에는 직물·의류 등 노동집약적 품목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전환되고 있다. 특히 2008년 이후에는 한국이 베트남에 수출하는 중간재 가운데 이른바 ‘고위 기술 중간재’의 비중이 크게 상승했다. 또한 베트남에 대한 서비스 투자 역시 금융보험, 자동차부품 판매업, 전자상거래 관련 부문 등 고부가가치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베트남의 경제 수준 역시 한국과의 수교 당시와는 크게 달라졌다. 사회주의 국가로서 베트남 정부는 장기 발전전략인 사회경제개발전략을 중심으로 베트남 경제의 양적, 질적 성장에 집중하고 있다. 과거 한국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방불케 하는 모습이다. 베트남 정부는 사회경제개발전략의 이행을 위해 산업발전 전략이나 디지털 전환 전략, 외국인 투자협력 전략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도, 기술, 인재육성, 투자유치, 시장개척, 지역별 균형산업발전을 기하고 있다. 또 베트남 정보통신부는 지난 2020년 발표한 국가 디지털 전환 정책을 기반으로 헬스케어, 교육, 금융, 농업, 교통·물류, 에너지, 천연자원·환경, 산업제조 등 8개 주요 부문의 발전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또 베트남 기획투자부는 부족한 자본력과 기술력의 보강을 위하여 ‘외국인 투자 협력 전략’을 통해 외국인의 직접투자를 확대하고, 산업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실현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는 “한국과 베트남은 수교 이후 상호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으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미래 협력 분야발굴에도 힘써야 한다.”면서 “특히 주목할 만한 미래 협력 분야로는 스마트시티, 미래 농·축산업, 교통(도로, 철도), 에너지, 문화·엔터 부문 등을 꼽을 수 있다”고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패러다임 전환을 권하고 있다.
그 중 스마트시티는 베트남의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교통, 안전, 환경,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문제점 해결을 위한 핵심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실제로 베트남 정부는 하노이, 하남, 빈푹 등 9개 성을 하노이 수도권으로 지정하고, 하노이의 3배에 달하는 신도시 개발을 추진하는 등 주요 도시들의 스마트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래 농·축산업 역시 베트남 GDP의 약 10%를 차지하고 종사자 비율은 전체인구의 45%에 달하는 베트남의 핵심 산업이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차세대 농·축산업 기술 개발과 하이테크 농축산업 단지 개발 등을 위해 선진국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도로와 철도 부문도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급격한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국제 기준으로 보면 여전히 중하위권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베트남의 산업발전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에너지 부문도 다국적 기업들이 최근 투자를 늘리는 등 유망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무역협회는 “친환경에너지 발전, 스마트그리드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과 베트남간의 협력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면서 특히 “K-pop, 드라마, 예능 등 한류를 중심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한국과 베트남이 협력할 분야”라고 강조했다.
다만 “양국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과 면밀한 모니터링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베트남에 대한 세계 각국의 투자와 무역이 폭증하는 가운데, 이들 나라들의 베트남에 대한 반덤핑 및 상계조사가 증가하고 있다. 미국, EU의 중국산의 베트남 우회수출 조사 역시 증가하는 등 베트남을 둘러싼 통상환경이 악화되고 있다는 우려다. “또한 베트남에 대한 직접 투자는 산업단지 등의 임대료 상승과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우리 기업들의 부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숙련 노동력의 부족도 여전하며, 복잡한 청산·파산 절차, 엄격한 이전가격세제, 그리고 사업의 불확실성과 리스크도 유의해야 할 점”으로 꼽고 있다.
출처: 중소기업투데이 (2022.12.22)